평소 해양쓰레기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
해양쓰레기 데이터도 저장하고 관리한다는 사실에 놀랬으며
분석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여 이 논문을 보게 되었다.
처음 논문을 보고 코로나때문에 집콕생활을 많이 하였고 당연히 해양쓰레기도 줄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일회용품 사용의 급증으로 인한 플라스틱 사용량 증가,
그리고 꽉 막힌 실내활동 보다는 야외활동을 선호하면서 해양쓰레기가 증가하였다.
또한 연구결과 코로나19와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플라스틱, 폐어구, 음식물쓰레기, 생활쓰레기 등의 해양쓰레기 유형의 출현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코로나19 발생 이전 시기에는 낚싯줄, 건축폐기물, 폐그물, 일회용품 등의 해양쓰레기 유형이
코로나19 발생 이후 시기에만 폐기물방치와 폐스티로폼 등의 해양쓰레기 유형이 나왔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봤을 때 코로나19가 해양쓰레기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생각이 들었다.
'스터디 > 논문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스터디] 12. 빅데이터 수집 처리를 위한 분산 하둡 풀스택 플랫폼의 설계 (0) | 2022.09.25 |
---|---|
[논문 스터디] 10.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이용한 농산물 구매량 예측: 파프리카를 중심으로 (0) | 2022.09.25 |
[논문 스터디] 9. 데이터 레이크 구축을 위한 Apache NiFi기반 ETL 프로세스 (0) | 2022.09.25 |
[논문 스터디] 8. IoT 클라우드 환경을 위한 서로 다른 이기종의 IoT 데이터 관리 기법 (0) | 2022.07.06 |
[논문 스터디] 7. AIoT 환경에 최적화된 머신러닝 기반의 IoT 데이터 처리 기법 (0) | 2022.07.04 |